목차

pageinfo
status
Need Revision

Local Life

개요

원격 - 클라우드에 생활과 데이터의 보관을 의존하는 생활 패턴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나기 위한1) 일련의 시도와 논의를 기록한다. 요컨대 (좁은 의미에서의)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나의 데이터들을 절반 이상 보존할 수 있고, 새로운 컨텐츠의 소비가 가능하도독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아날로그가 아닌 디지털이며(아날로그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이미 온라인에 접근할 필요성은 없으므로)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문서: 특정 형식으로 작성한 (보존 가치가 있는) 문서 파일들,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인쇄된 문서를 스캔한 PDF/PNG 파일
  2. 텍스트: 정보를 기록한 TXT 혹은 유사한 형식의 파일들
  3. 음악: CD 등에서 리핑하거나 다운받은 MP3/AAC 등의 파일
  4. 동영상: DVD/BD 등에서 리핑하거나 다운받은 동영상 파일
  5. 사진: 인터넷에서 수집하거나 스마트폰/카메라로 촬영한 파일

또한 컨텐츠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음악
  2. 뉴스
  3. 텍스트
  4. 동영상

데이터 보존에 관해

보존하려는 데이터는 디지털 형식이므로, 결국은 이를 저장하기 위한 도구가 로컬하게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 또한 이 문서는 원격(클라우드)과의 연결을 지양하는 것에 한하므로, 로컬한 네트워크 구성은 오히려 자동화 등을 위해 필요하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의 유실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취할 수 있다.

사례 - 데이터

이 절에서는 단순한 형태의 데이터 백업 외에, 특정 포멧에 특화된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을 다룬다.

문서

텍스트

2024년 현재 플레인 텍스트 파일을 관리하는 가장 범용적이고 간편한 도구는 Obsidian이다. 다만 옵시디안은 오픈 소스가 아니며, 따라서 대안이 등장한다면 언제든 대체 가능하다. 대안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도구는 다음과 같다.

음악

사진(및 동영상)

사례 - 컨텐츠

이 절에서는 원격으로 연결하지 않고 컨텐츠를 향유하는 방법에 관해 정리한다. 대원칙은 크게 두 가지다: 1) 미리 물리 파일을 확보/다운로드해 놓는다 2) 아날로그 매체를 활용한다.

음악

뉴스

텍스트

동영상


Backlinks


1)
사실상 원격 서버와의 교류를 완전히 벗어난 삶이란, 최소한 21세기에는 불가능하다. 애초에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중앙 서버와 단말기라는 개념에서 시작했으며, PC (Personal Computer)는 이 구도를 벗어나 모든 개인이 개인적 공간에 소유할 수 있는 혹은 개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충분한 성능의 컴퓨터를 갖도록 하기 위한 시도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목표를 일관되게 추구하는 기업은 현재까지는 애플이 거의 유일하다. 다만 현재의 문제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는 성능의 컴퓨터를 개개인이 소유할 수 있게 됐음에도 클라우드나 원격에 대한 의존성이 점점 커져간다는 것이다.
2)
그러나 한편으로는, 물리적인 연결이 자주 탈착되는 행위 자체가 저장소의 고장 내지는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3)
NAS나 서버를 사용한다면 (원본 데이터가 삭가된 상태에서) 1) NAS/서버 2) 1)을 백업하기 위한 외장하드 3) 클라우드로 이루어진 3-2-1 체제를 완비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한 비용이 상당히 많이 발생한다.